LTE 디바이스 개발 공통
Cat.M1 디바이스 개발 개요
Overview
SKT LTE Cat.M1 디바이스 개발 시, 모듈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며, Evaluation Board를 통해 테스트를 진행해볼 수 있습니다. 본 설명에서는 모듈과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설계된 IoT Starter Kit를 이용해 LTE Cat.M1 모듈을 개발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말씀 드리겠습니다. 모듈에 대한 기초적인 하드웨어 스펙은 SKT IoT 소개 > Module > Cat.M1 (https://www.sktiot.com/iot/introduction/network/networkCatM1Main1)을 클릭하여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
우리넷 모듈의 동작 전압은 3.4V~4.2V이며 AM Telecom의 동작전압은 1.8V입니다. 이는 J12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 핀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

3.3V의 UART를 지원하는 모듈(우리넷)에는 3번핀과 4번핀 연결, 1.8V의 UART를 지원하는 모듈(AM Telecom)은 5번핀과 6번핀을 연결해주시면 됩니다.
정격 전압레벨 보다 과전압이 입력될 경우 모듈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의해서 연결 부탁 드립니다.
동작 시 기본 Baudrate는 115,200으로 설정해야 합니다. 두 모듈의 경우 LTE Band 5를 지원하며uplink: 375Kbps, downlink: 300Kbps의 속도를 가집니다.
운영체제는 Linux이며, 모듈의 동작을 위해 우리넷은 Down Trigger, AM Telecom은 Up Trigger를 입력해줘야 합니다. 해당 Trigger는 J18을 통해 설정해줄 수 있습니다.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위의 정보를 기반으로 Trigger Jumper 설정을 완료해 준 후 1초 이상 SW1(POWER Switch)을 눌러주면 모듈이 동작하며, 이는 LD3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모듈 사용을 종료할 때에는 SW1을 3초 이상 눌러주면 10초뒤 LD3가 꺼지면서 종료됩니다.

J8 핀 헤더에 Jumper Cap을 꽂아 Cat.M1 모듈의 UART 핀을 외부 칩과 연결 할 수 있습니다. Arduino Mega2560과 H/W 호환이 되며 기본적으로는 USB to Serial 핀과 연결 되어 있습니다.

위의 내용들을 통합한 모듈 별 jumper연결 모습입니다.

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점퍼의 위치입니다. 우리넷과 AM Telecom 별 점퍼의 위치가 조금 다르니 이점 참고하시어 연결 해주시기 바랍니다.
본 과정에서 진행되는 개발가이드는 우리넷 모듈 기반으로 진행됩니다.